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는 경춘선 전철화 개통에 따라 도입된 ITX-청춘 열차로, 2012년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최고 운행 속도는 180km/h이며, LED 실내 조명, LCD TV, 수유실, 자전거 거치대 등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4~5호차는 대한민국 최초의 2층 객차로 구성되었으며, 용산역과 춘천역을 오가는 경춘선 구간과 경부선 일부 구간에서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노후화된 무궁화호 대체 및 경량화, 제작비용 절감을 위해 히타치 A-Train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된 140km/h급 준고속 전기 동차로, 현재 28량이 강릉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여러 노선에서 운행 중이며 일부는 관광열차로 개조되었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2013년부터 ITX-새마을 특급열차로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이며,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경부선, 호남선 등에서 운행한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산천
KTX-산천은 대한민국 고속철도 기술 자립을 위해 HSR-350x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0량 편성, 알루미늄 차체, 1,100kW급 유도전동기, 개선된 제동 장치, ATP/ERTMS 시스템 등을 갖추고 최고 시속 305km로 운행하며, 좌석 간 거리 확대 및 회전 좌석 등 승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산화율을 87%까지 높인 고속열차이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 |
형식 | ITX-청춘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경춘선 |
제작 회사 | 현대로템 |
제작 년도 | 2009년 |
영업 개시 | 2012년 |
퇴역 | 없음 |
차량 수 | 64량 (8량 편성) |
편성량수 | 8량 |
차체 재질 | 스테인리스강 |
규격 | |
차량 길이 | 19.5m |
차량 폭 | 3.12m |
차량 높이 | 3.75m |
궤간 | 1,435 mm |
편성 정원 | 1,256명 (좌석 420석) |
성능 | |
최고 속도 | 198km/h |
영업 최고 속도 | 18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98 km/h |
가속도 | 3.0 km/h/s |
감속도 (상용 최대) | 3.5 km/h/s |
감속도 (비상) | 4.5 km/h/s |
편성 출력 | 5,000kW (정격), 5,600kW (1시간 정격) |
전동기 출력 | 250kW (20개) |
동력 방식 | VVVF-IGBT (도시바 2레벨 1C2M 제어) |
구동 장치 | WN 구동 방식 |
전기 장치 | |
전원 방식 | 25kV/60Hz AC |
집전 방식 | 단암식 팬터그래프 |
제동 장치 | |
제동 방식 |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제동 |
안전 장치 | |
보안 장치 | ATS, ATP(안살도) |
기타 | |
차량 가격 | 192억 1000만 4원 |
2. 특징
4~5호차는 대한민국 최초로 2층 객차를 채용하였다. 이는 침대차가 아닌 객차 중에서는 유일하다. 경춘선 운행 당시 관광 노선이라는 특성에 맞는 조망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층당 높이는 1.9m이다. 그러나 총 좌석 수는 계단으로 인해 길이가 제한되어 다른 칸과 차이가 없다.
2. 1. 기술적 특징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 그리고 아무런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었으며, T차에 대한민국 최초로 2층 객차가 편성되었다.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3680XX | Tc (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681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682XX | M (주변환장치) |
3683XX | T (무동력 2층객차) |
3684XX | T (무동력 2층객차) |
3685XX | M (주변환장치) |
3686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689XX | Tc (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경춘선 전철화 개통에 따라 도입된 차량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이다. 311000호대 후기형이나 321000호대 등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이 차량은 전철선의 고상식 승강장과 일부 역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에 대응하는 반면, 일반 열차가 발착하는 저상식 승강장에서의 승하차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경부선 운용 시 저상식 승강장 승하차를 위한 전용 발판을 설치하고 있다).
최고 운전 속도 180km/h에 대응하기 위해 기어비는 낮은 22:91로 설정되었고, 주전동기는 자통풍식의 4극 다람쥐형 삼상 유도 전동기(정격 회전수: 2,670rpm, 최고 회전수: 5064rpm, 정격 출력: 250kW, 정격 전류: 134A, 정격 단자 전압: 1350V)를 채용하였다.[1]
경춘선은 관광 노선이기도 하므로, 전망 확보를 목적으로 한국 최초의 2층 차량이 4호차와 5호차에 도입되었다.
2. 2. 편의 시설
객실 내에는 LED 실내조명등과 21인치 LCD TV가 설치되었으며, 수유실, 수화물 보관대, 자동판매기, 자전거 전용 거치대 등 차내 고객 편의 시설을 갖추었다. 3호차는 장애인객차로 편성되었고, 3호차와 6호차에는 화장실이 설치되었다. 내부와 통로의 폭도 KTX-산천보다 더 넓어졌다.좌석은 회전이 가능하며, 폭이 넓고 간격은 KTX-산천 일반실과 같다. 출입문 부근 자유석 공간에는 고객의 키 높낮이를 고려한 입석용 손잡이가 설치되었고, 1호차와 8호차에는 수도권 전철 차량과 동일하게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었다.[3]
차내 실내 조명은 LED를 채택했으며, 차내 안내 표시 장치로 21인치 LCD 모니터를 설치했다. 그 외에 수유실, 수하물 보관대, 자판기, 양쪽 선두 차량에 자전거 보관대, 3호차와 6호차에 화장실 등을 설치했다. 좌석은 리클라이닝 시트이며, KTX-산천과 마찬가지로 회전이 가능하다.
3. 운행
ITX-청춘으로 경춘선 용산~춘천 구간에서 운행되며, 그 외 전세열차로서 수도권 전철 내 다른 구간에 투입되는 경우가 있다.[4]
3. 1. 노선
ITX-청춘으로 경춘선 용산~춘천 구간에서 운행되며, 그 외 전세열차로서 수도권 전철 내 다른 구간에 투입되는 경우가 있다.[4]4. 편성 상세 정보
(Tc)
(M')
(M)
(T)
(T)
(M)
(M')
(Tc)
:
368008
:
368108
:
368208
:
368308
:
368408
:
368508
:
368608
:
368908